Gooni's Travle

우리 동네 탐방기 (충렬사 편)

JS.Gooni 2025. 10. 11. 23:45

오늘은 추석연휴를 맞이하여 태어나고 자란 나의 동네 명장/안락동의 유적지 탐방을 해본다.
어린 시절 소풍이나 사생대회의 장소로 빠지지 않던 안락동의 충렬사와 대포산(정식명칭인지는 모르겠다)을 중심으로 둘러보기로 한다.
 

 
첫 번째 장소로 안락로터리에 위치한 충렬사다.
 
https://www.busan.go.kr/cys/index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무소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무소 홈페이지입니다.

www.busan.go.kr

충렬사는 임진왜란 때 동래부사 송상현, 부산진첨절제사 정발, 다대진첨절제사 윤흥신을 비롯해 부산지방을 지키다 순절하신 선열들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605년(선조 38) 당시의 동래부사 윤훤은 동래읍성 남문 밖 농주산에 송상현의 위패를 모신 송공사를 지어 매년 제사를 지내고 기리게 하였다. 선위사 이민구의 상소로 1624년(인조 2)에 송공사는 충렬사로 사액되어 명칭이 바뀌었다. 1652년(효종 3) 동래부사 윤문거는 충렬사를 지금의 자리(안락동)로 이전하면서 송상현 공을 위시한 선열들의 학행과 충절을 후학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사당(충렬사) 앞에 강당(소줄당)과 동·서재(기숙사)를 함께 지어 안락서원이라 명명하였으며,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서원 설립의 특수성을 인정하여 철폐되지 않고 현대까지 존속하였다. 현재의 충렬사는 1978년 정화 사업을 거쳐 사당인 본전과 의열각, 기념관, 정화기념비, 송상현공 명언비, 충렬탑 등의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지금도 해마다 5월 25일에 시에서 주관하여 제향을 지내고, 음력 2월과 8월 중정일(中丁日)에 충렬사 안락서원에서 제향을 올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충렬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라고~ 네이버에서 아주 친절히 설명해 주고 있다.

 

원래 저 충렬탑은 예전에 안락교차로가 안락로터리로 불리던 회전 교차로 시절에 로터리 중앙에 위치되어 있었으나 지하도가 개설되면서 십자교차로로 바뀌어 지금의 위치로 옮겨 졌다.

지금은 회전 교차로가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예전엔 교차로가 몇 차선으로 되어 있어 참 사고도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입구엔 충렬사를 소개하는 글과 위치 지도가 설명되어 있다.
국민학교(우리 땐 국민학교다) 이후로 처음 찍어보는 것 같다.
지금에 와서 얘기지만 예전엔 이곳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을 모시던 곳으로 알고 있던 사람들이 많았을 거다.
장군이라고 하면 무조건 이순신 장군님부터 떠오르니 당연히 그리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러나 그건 정답이 아니라는 사실... 답은 네이버에서~
 

 
연휴라 그런지 조용하다.
사람도 뜸하고 좋다.
예전엔 입장료도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무료 개방이다.
가끔 야외결혼식도 하는 걸 지나며 봤던 기억이 난다.
 

 
충렬사 입구에 들어서면 왼쪽에 연못이 있다.
연못에는 잉어가 많이 산다. 어릴 때 새우깡을 참 많이도 줬던 것 같은데 그때 그 후손들이려나? ㅎ
새우깡을 많이 주다 보니 비둘기들도 참 많다.

오늘을 함께하는 막내누나와 한컷.
 





부끄럽겠지만 누나의 추억팔이 한 장.
한 30년 전이려나? ㅎㅎ
나의 어린 시절 사진도 있지만 패스~
 

 
층수로 보면 4층구조로 되어 있다.
2층계단인지 3층계단인지 모르겠지만 여기서도 잠깐 누나의 추억팔이 한 장~ 
 

 
이건 40년은 되었을 듯하다. ㅎㅎ
 






2층엔 기념관과 소줄당이 있다.
방문 당일 무슨 행사를 한 뒤라 제를 모셨던 모습을 볼 수가 있었다.
 




 
기념관 내부엔 임진왜란 당시에 착용했던 의복과 각종 서적들 그리고 현판 등 귀중한 자료들이 모셔져 있다.
사진을 올려도 되는지는 모르겠다만 상업적인 게 아니니 일단 올려본다.
 

 
그리고 3층엔 의열각과 정화기념비가 있다.
의열각은 사진이 없구먼.
 

 
어릴 때 저러고 많이 놀았던 것 같은 느낌이다. 왠지 익숙하다.
 

 
그리고 4층엔 임진왜란 때 부산지방을 지키시다 순절하신 선열 89위(남성)를 모시고 있는 충렬사의 본당이 있다.
 

 
행사 마무리 중이라 방해될까 얼른 피해 옆문으로 나와 군관청과 동래읍성지가 있는 뒷산 정상으로 향해 본다.
 
우리 동네 탐방기 충렬사 편은 여기서 끝!
 
 
 

반응형